KB펀드맵 펀드찾기

인기펀드

동안
자금유입액이 가장 많은 상품입니다.
기준일 : (운용펀드 기준)
전체보기
동안
수익률이 가장 높은 상품입니다.
기준일 : (운용펀드 기준)
전체보기
동안
클릭수가 가장 많은 상품입니다.
기준일 : (운용펀드 기준)
전체보기

검색 BEST

동안
가장 많이 검색된
검색어 입니다.
검색어 클릭 시 ‘통합검색’의 결과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기준일 : 통합검색 바로가기

장바구니

  • 최신순으로 10개까지 장바구니에 추가됩니다.
  • ‘장바구니’에 담긴 상품은 웹 캐시(cache) 삭제 시 자동 삭제됩니다.
  • 펀드 상품을 비교하려면 체크박스 선택 후 ‘선택 상품 비교’ 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최소 2개 ~ 최대 3개까지 비교 가능)

투자 아이디어

  1. Insight & View
  2. 투자 아이디어
상품/투자정보

USDC, 서클(CRCL), GENIUS ACT - 스테이블 코인 시대가 온다 (KB글로벌디지털체인경제 펀드)

등록일
2025-06-24

제도권 진입한 스테이블 코인
- 블록체인 생태계, 투자 시그널 ON

 



세줄요약

 미국이 스테이블 코인 관련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관련 기업의 주가가 급등했어요.

특히 USDC는 투명성과 준비금 공개 등으로 신뢰를 얻으며 주목받고 있죠. 미국채 수요 확대와 금리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돼요.

이 변화는 블록체인 생태계 전반에 관심을 가져야 할 시그널이예요. 단기 테마주보다 큰 흐름을 보는게 중요하죠.
 




■ 서클(CRCL) 주가 폭등,
스테이블 코인에 쏠리는 시장의 시선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키워드는 단연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지난 6월 17일, 미국 상원이 'GENIUS ACT'로 불리는 스테이블 코인 규제 법안을 초당적으로 통과시키자마자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폭등하며 시장의 이목이 집중됐습니다.

대표적으로 스테이블 코인 USDC를 발행하는 서클은 6월 5일 상장 이후 2주 만에 주가가 675% 급등했고, 법안 통과 당일에도 33.8%나 오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습니다.

6월 5일 상장 이후 급등한 CRCL 주가.
(출처: yahoo finance, 6/20 기준)


이처럼 스테이블 코인 산업이 본격적으로 제도권에 진입하는 전환점이 마련되자, 글로벌 자금이 빠르게 이 분야로 몰리며 금융 시장의 판도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 USDT와 USDC의 차이
- 시장의 변화


스테이블 코인이란 쉽게 말해 '가치가 안정적인 디지털 화폐' 입니다.

1코인이 1달러와 같은 가치를 유지하도록 설계돼, 발행된 코인 수만큼 달러나 미국 국채 등 안전자산을 준비금으로 쌓아두고 언제든 교환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대표적으로 두 가지가 있는데, 바로 USDT(테더)와 USDC(서클) 입니다.

USDT와 USDC 중심의 스테이블 코인 시장.
(출처: Defillana, KB증권)


USDT는 오랜 기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해왔지만, 발행사와 준비금 투명성 논란, 그리고 중국계 자본과의 연관성 이슈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습니다.

실제로 테더는 준비금의 상당 부분이 미국 국채가 아닌 기타 자산이나 심지어 중국계 자본과 연결되어 있다는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죠.

이 때문에 최근에는 미국 기업이 발행하고 규제 투명성이 높은 USDC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USDC는 미국 내 규제 환경을 충족하면서, 발행사인 서클이 정기적으로 준비금 내역을 공개하고 외부 감사를 받는 등 투명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스테이블 코인 산업을 제도권으로 끌어들이는 과정에서 USDC와 서클이 가장 큰 수혜주로 부상한 배경이기도 합니다.

스테이블 전체 시가총액과 USDT, USDC 시가총액 추이.
(출처: coinmarketcap, 키움증권)




■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혁신
- 스테이블 코인의 역할


스테이블 코인은 블록체인 기술 위에서 구현된 대표적 디지털 자산입니다.

블록체인 덕분에 중개기관 없이 투명하게 거래되고, 24시간 전 세계 어디서나 송금과 결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단순한 암호화폐를 넘어 글로벌 금융 인프라의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핵심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해외 송금과 스테이블코인 해외 송금 비교.
(출처: 한국은행, BVNK, 키움증권)


GENIUS ACT가 스테이블 코인에 합법적 지위를 부여하면서,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미 달러의 글로벌 패권 강화와 미국 국채금리 안정이라는 정책적 목적가지 더해지며 시장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스테이블 코인이 준비금으로 미국 국채를 대량 보유하게 함으로써, 국채 수요를 늘리고 금리 안정 효과까지 노릴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테더와 서클 등 주요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은 수백억 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를 준비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어, 미국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력도 커지고 있습니다.

수백억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를 준비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들.



■ 테마주보다 생태계 전체를 보는 투자 전략

KB 글로벌 디지털체인 경제 펀드

이처럼 스테이블 코인 산업이 제도권에 편입되는 변화 속에서, 단기 급등주나 테마주를 쫓기보다는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 생태계 전반을 돌아보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KB자산운용은 이미 2021년 9월, KB글로벌 디지털체인 경제 펀드를 출시해 블록체인 기술 관련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거나, 생태계에 기여하는 글로벌 기업에 투자하는 BNCN(Siren Nasdaq NexGen Economy ETF)을 비롯해,

→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하드웨어 인프라를 제공하는 엔비디아, TSMC, 마이크론,

→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을 금융, 결제, 공급망, IT 인프라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하고 있는 나스닥, 메타, 월마트,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에 투자하고 있죠.

KB 글로벌디지털체인 경제 펀드가 편입하고 있는 종목.

이러한 간접투자를 통해 단기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고, 블록체인과 스테이블 코인 산업의 성장세를 꾸준히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적 관점의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습니다.




■ 스테이블 코인 제도권 편입,
금융의 미래를 바꾼다.


스테이블 코인 산업의 제도권 편입은 단순한 암호화폐 이슈를 넘어 금융 인프라의 디지털 대 전환을 예고합니다.

서클과 USDC의 부상,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 금융
의 확산은 앞으로 글로벌 금융 시장의 판도를 바꿀 중요한 흐름이 될 것입니다.

기술과 정책의 흐름을 읽고, 블록체인 기반 미래 금융에 투자하는 전략적 시각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제 스테이블 코인은 더 이상 변방의 실험적 자산이 아니라 전통 금융과 디지털 경제를 연결하는 가교이자, 미래 금융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펀드 더 알아보기 (클릭)
 



Compliance notice

※ KB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투자광고 2025_953(다)'
※ 본 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각종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계량적 분석에 근거한 의견을 제시하며, 당사의 대표 투자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합리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지만, 투자 권유의 적합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라도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현재의 시장 상황을 감안하여 참고용으로만 제시된 것이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자 개인의 의견이 반영된 것입니다. 당사는 관련 법령에 허용된 범위 내에서 투자 전략 및 투자 프로세스를 결정하므로, 본 자료에 기재된 사항 중 관련 법령 및 계약서의 내용과 상이한 것은 효력이 없습니다.
※ 본 자료는 당사의 저작물로서 모든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귀속되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본 자료를 KB자산운용 임직원 외의 자로부터 입수하였을 경우, 자료 무단 제공 및 이용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해당 제공자 및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 투자자는 투자 의사결정을 하시기 전에 반드시 집합투자규약 및 투자설명서를 수령하여 상품의 내용을 충분히 인지한 후 투자 결정하시기 바라며, 투자 전 판매 회사의 충분한 설명을 청취하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운용 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 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금융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세기준 및 과세 방법은 향후 세법 개정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KB글로벌 디지털체인경제 증권투자신탁(주식): 2등급(높은위험), 온라인일반형C-E클래스 기준 합성 총보수비용 연1.430%(판매사 0.5%, 집합투자업자 0.85%, 신탁업자 0.06%, 사무관리회사0.015%, 기타비용 0.005%), 환매수수료 없음, 17시 이전(경과 후)환매 청구 시 환매청구일로부터 4(5)영업일 기준가격으로 제 8(9)영업일에 환매대금 지급

▶ KB자산운용
※ 전화 : 02-2167-8200
※ 메일 : answer@kbam.co.kr

이전글
이번 상승장에서 믿을만한 '국내주식 테마' - K컬쳐
다음글
워렌 버핏의 은퇴 이야기 - 버크셔해서웨이가 비밀스럽게 매입하는 종목은? (13F)